이룸통장은 서울시에서 중증장애인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특별한 저축 통장입니다.
이룸통장에 가입하면 3년 동안 매월 10만 원에서 20만 원을 저축할 수 있고, 서울시에서는 저축한 금액에 따라 매월 15만 원을 추가로 저축해 줍니다.
√ 예를 들어,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서울시에서도 10만 원을 더 넣어주고, 매월 20만 원을 저축하면 서울시에서도 20만 원을 더 넣어줍니다. 이렇게 하면 3년 후에 최대 1억 2천만 원의 자금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저축목적
교육, 주거 등을 위한 자립준비용도.
장기 적립을 위한 미래자산용도.
◈신청자격
√ 서울시에 거주
√ 만 15세 이상~만 39세 이하의 중증장애인이어야 합니다.
√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인 가구에 속해야 합니다.
√ 저축계획을 세우고, 매월 정해진 금액 저축해야 합니다.
(※ 공고문을 통해 세부사항을 필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신청기간
√ 매년 5월에 공고되며,
√ 신청장소는 주소지 동 주민센터입니다.
◈지원내용
√ 본인저축액:
- 월 10·15·20만 원 중 선택
√ 매칭지원액:
- 월 15만 원씩 적립
√ 약정기간:
- 36개월(3년)
√ 적립금 총액:
- [10만 원] 총 900만 원,
- [15만 원] 총 1,080만 원,
- [20만 원] 총 1,260만 원
√ 저축방법:
- 참가자가 매월 협력은행을 방문하여 본인저축액 직접 입금 또는 매월 자동이체
√ 매칭금액 지원 기관:
- 서울시
◈참가자 의무상항
√1. 적립기간 동안 서울시 연속 거주
√2. 적립기간 동안 13회 이상 저축
√3. 적립기간 동안 금융교육 연 1회 이상 이수
√4. 기타 약정 내용을 위반하지 않고 성실히 이행
이룸통장은 장애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실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홈페이지나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유용한 꿀팁정보]
◐ 장애인연금 및 장애수당, 장애연금 등 다양한 장애 관련 용어 구분과 수령금액 알아보자
◑ 장애인 복지혜택의 종류를 알아보자 (중증장애인, 경증장애인, 비구분)
◐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 신청 방법 그리고 이용 자격 조건 (서울, 경기, 인천)
이상으로 중증장애인 저축통장 이룸통장 알아보기 (취업이룸 통장임금 입금)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끝.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딤씨앗통장 가입대상 및 사용용도 알아보기 (29) | 2023.08.08 |
---|---|
꿈나래 통장 신청자격 및 혜택 알아보기 (ft. 자녀 교육비 저축통장) (45) | 2023.08.07 |
2024년 희망 두 배 청년통장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28) | 2023.08.06 |
청년안심주택 vs 역세권청년주택 차이점 알아보기 (21) | 2023.08.06 |
역세권청년주택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 그리고 무이자대출 알아보기 (20) | 2023.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