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 누전 총정리↘
전기 누전이란 전선이나 전기 기기에서 절연이 잘 되지 않아 전류가 누설되는 현상입니다. 전기 누전은 화재나 감전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해결해야 합니다.
목차
◎누전 조치방법
전기 누전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치해야 합니다:
- 먼저 현관이나 계량기 옆에 있는 주택용 분전함의 커버를 열고 누전 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를 모두 아래로 내립니다.
- 누전 차단기의 시험용 단추를 눌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작동하지 않으면 정전이거나 누전 차단기의 불량일 수 있으므로 한전에 전기고장 신고를 하거나 관리사무소에 연락해야 합니다.
- 누전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누전 차단기를 올리고 배선용 차단기를 하나씩 올려서 누전이 발생한 회로를 찾습니다. 누전 차단기가 다시 내려가면 해당 회로가 누전이라는 의미입니다.
- 누전이 발생한 회로를 찾았다면, 해당 회로에 연결된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하나씩 분리하면서 누전 테스터기로 측정해보아야 합니다. 누전 테스터기는 전선이나 전기 기기의 절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전기자재를 파는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 누전 테스트기의 표시창에 불이 들어오거나 소리가 나면 누전이 발생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누전이 발생한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발견하면, 해당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합니다.
- 누전이 발생한 전선이 매립된 경우에는 전선을 교체하거나 절연처리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전기공사업체에 의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꼭 확인하세요!↘
◎누전 확인방법
- 먼저 누전 차단기가 트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누전 차단기는 주택용 분전함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누전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합니다. 누전 차단기가 트립되었다면, 누전이 발생한 곳을 찾아야 합니다.
- 누전이 발생한 곳을 찾기 위해서는 절연저항 측정기(메거)를 사용합니다.
- 절연저항 측정기는 전기자재를 파는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전선이나 전기 기기의 절연 상태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절연저항 측정기의 흑색 리드봉(악어클립, 집게)을 접지에 연결하고, 적색 리드봉을 누전이 예상되는 전선에 접촉시킨 후 표시창에 나타나는 수치를 확인합니다.
- 수치가 1㏁ 이하이면 누전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누전이 발생한 곳을 찾기 위해서는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하나씩 분리하면서 절연저항 측정기로 측정해보아야 합니다.
-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분리할 때는 반드시 누전 차단기를 내려놓고 작업해야 합니다.
- 누전이 발생한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발견하면, 해당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합니다.
- 누전이 발생한 전선이 매립된 경우에는 전선을 교체하거나 절연처리해야 합니다.
◎누전이 발생한 곳 찾기
누전이 되는 곳을 찾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은 누전 테스터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누전 테스터기는 전선이나 전기 기기의 절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전기자재를 파는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누전 테스트기의 사용 방법
- 먼저 누전 차단기가 트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누전 차단기는 주택용 분전함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누전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합니다.
- 누전 차단기가 트립되었다면, 누전이 발생한 곳을 찾아야 합니다.
- 누전이 발생한 곳을 찾기 위해서는 누전 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를 모두 내려놓고, 누전 테스트기의 라인 선을 전선에 찍어서 누전이 되는 곳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누전 테스트기의 표시창에 불이 들어오거나 소리가 나면 누전이 발생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누전이 발생한 곳을 찾기 위해서는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하나씩 분리하면서 누전 테스터기로 측정해보아야 합니다.
-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분리할 때는 반드시 누전 차단기를 내려놓고 작업해야 합니다.
- 누전이 발생한 콘센트나 전기 기기를 발견하면, 해당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합니다.
- 누전이 발생한 전선이 매립된 경우에는 전선을 교체하거나 절연처리해야 합니다.
전기 누전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전기 누전을 직접 해결하기 어렵다면,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
↘
끝.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리드 행사란? 행사 사례 및 준비 가이드 (25) | 2024.01.03 |
---|---|
2024년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 추천선물 (+이벤트 소식) (47) | 2024.01.03 |
AI상용화 메타버스 무한한 가능성과 도전 (19) | 2023.12.30 |
크릴오일의 놀라운 효능과 부작용(+오메가3) (43) | 2023.12.27 |
국민주택채권이란? 매입대상, 할인율, 종류 및 장단점 (34) | 2023.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