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뉴스/경제

노후 소득보장의 중요성 대 재정 안정성: 어느 것이 우선인가?

by 뭐슨일이고 2024. 6. 20.

노후 소득보장의 중요성 대 재정 안정성 어느 것이 우선인가?

↓↓

 

 

 

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국민연금은 국가가 운영하는 은퇴 후 소득 보장 제도입니다. 최근 공론화위원회의 설문조사에서 두 가지 개혁안이 제시되었습니다:

 

1. 소득보장 안

이 안은 국민연금의 보험료율을 현재의 9%에서 13%로 인상하고, 연금 수령액을 결정하는 소득대체율을 42.5%에서 50%로 상향 조정한다는 방안입니다. 이는 사람들이 더 많은 보험료를 내고, 그에 따라 더 많은 연금을 받게 되는 ‘더 내고 더 받는’ 구조입니다.

 

2. 재정안정 안

이 안은 보험료율을 12%로만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즉, 사람들이 더 많은 보험료를 내지만, 연금 수령액은 변하지 않는 ‘더 내고 그대로 받는’ 구조입니다.

 

설문조사 결과, 시민대표단의 56%가 소득보장 안을 선호했으며, 42.6%가 재정안정 안을 선택했습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노후에 더 많은 소득을 보장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재정안정을 중요시하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어, 어떤 방향으로 개혁해야 할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소득보장 안은 노후에 더 많은 돈을 받기 위해 지금 더 많이 내는 것이고, 재정안정 안은 현재의 연금 수준을 유지하면서 보험료만 조금 더 내는 것입니다.

 

 

노후 소득보장의 중요성 대 재정 안정성 어느 것이 우선인가?

 

 

 

은퇴 후 기본 생활비 보장


 

현재 한국의 국민연금 급여 수준은 OECD 평균에 비해 낮습니다. 이는 국민연금에 장기간 가입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이론적인 수치이지만, 실제로는 더 적은 금액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만약 2030 세대가 26년 동안 국민연금에 가입한다면, 그들이 받게 될 연금은 약 66만 원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 금액은 필요한 노후 최소 생활비인 124만 원의 절반에 불과하여, 충분한 생활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소득대체율을 현재의 42.5%에서 50%로 상향 조정하고, 가입 기간을 늘려 국민연금으로 95만 원에서 100만 원 정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기초연금을 추가하여 노후 최소 생활비를 확보할 필요는 있다고 말합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국민연금의 급여 수준을 높이고 가입 기간을 연장하여 노후에 충분한 생활비를 확보하자는 것이 주된 내용입니다. 이러한 제안은 노후에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죠.

 

 

 

노인 빈곤 문제에 대한 해결책


 

한국의 노인 빈곤 문제는 통계에 의하면 심각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22년에는 노인 인구 중 38.1%가 빈곤 상태에 있었으며, 이는 OECD 평균인 15%를 훨씬 초과하는 수치입니다.

 

더욱이, 2085년에는 노인 빈곤율이 29.8%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빈곤에 처한 노인의 수는 43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연금제도의 개혁이 시급함을 나타냅니다. 현재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노인들이 빈곤에서 벗어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를 개선하지 않으면, 노인 빈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기초연금이나 생계급여와 같은 사회 안전망에 대한 조세 부담이 늘어나게 됩니다.

 

결국, 미래 세대에게 더 큰 재정적 부담을 지우게 되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적절히 조정하고, 연금제도를 개혁하여 노인들이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는 미래 세대의 부담을 줄이고, 모든 세대가 공정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재정 안정성의 위기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높이는 것은 재정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현재 국민연금 제도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2041년에는 연금 기금의 지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적자가 발생할 것이고, 2055년에는 연금 기금이 완전히 소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면, 2060년에 기금이 고갈된 후에는 연금 지출과 적자가 더 커져서, 2093년에는 누적 적자가 현재보다 702조 원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2070년에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의 192.6%에 이를 정도로 매우 큰 부채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재정안정 안을 따르면, 같은 기간 동안 누적 적자를 1970조 원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재정안정 안이 장기적으로 국가 재정에 더 유리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간단히 말해, 소득대체율을 높이면 단기적으로는 노인들의 소득이 증가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어 미래 세대에게 더 많은 채무를 남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금 개혁은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노인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미래 세대에게 재정적 부담


 

소득보장 안은 합계출산율 0.7명대의 초저출생으로 미래 인구구조 악화가 예견되는 상황에서 미래세대에 과도한 부담을 떠넘길 것으로 염려됩니다.

 

소득보장 안 적용 시 2015년생은 46세가 되는 2061년 월급의 35.6%를 국민연금 보험료로 납부하게 되며, 또 생애 평균 보험료율은 22.2%에 달하게 됩니다.

 

1960년대생의 평생 평균 보험료 7.6%와 비교해 매우 높은 수치에 해당합니다.

소득 보장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미래세대의 부담을 GDP의 2%에 달하는 국고 투입으로 충당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기초연금 등 고령화에 따라 다른 복지 지출이 빠르게 늘고 있는데 국민연금에까지 국고를 투입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노후 소득보장의 중요성 대 재정 안정성 어느 것이 우선인가? 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