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쁜 도시생활을 벗어나고 푼 생각에 우연한 기회에 어느 작은 시골마을에 가게 되었다. 그곳은 정말 작은 마을이고 보이는 것이라곤 산과 밭들 그곳 사람들은 소규모로 농사들을 짓고 있었으며, 갓 수확한 농산물을 직접 마트에 납품을 하면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렇게 소규모로 갓 수확한 농산물을 농협로컬푸드직매장에 직접 납품하는 내가 궁금해했던 이른바 "로컬푸드"였다.
오늘은 로컬푸드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현황과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로컬푸드 정의
지역에서 생산한 먹거리를 장거리 이동과 다단계 유통과정을 거치지 않고 지역에서 소비하는 새로운 먹거리 유통문화를 말한다.
장점
- 갓 수확한 농산물의 신선함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 푸드마일리지와 유통비용이 감소하여 환경과 경제에 이익을 줍니다.
- 농업인의 안정적인 소득 구조와 지역 농업의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소비자와 생산자가 마음과 가치를 함께 나누는 행복나눔터가 됩니다.
농협로컬푸드직매장은 전국에 500여 개가 넘는 로컬푸드 판매장으로, 농업인이 직접 수확, 포장, 가격결정, 진열, 재고관리 등을 하고 농협 매장을 통해 판매하는 직거래 방식의 농식품 판매장이다.
농업인들의 어려움을 들어보자
↓↓↘↘
단점
로컬푸드를 생산하는 농민들에게는 몇 가지 단점들이 있다.
- 생산부터 포장, 출하, 진열까지 모든 과정을 농민들이 책임져야 합니다.
- 이는 농민들에게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구하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농산물의 신선도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당일 수확, 당일 소비를 원칙으로 합니다.
- 만약 당일 판매가 되지 않는다면 농민들은 재고를 처리하거나 폐기해야 하며, 이는 손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이나 다른 출하자와의 경쟁이 심해 가격이 폭락하기도 합니다.
- 가격을 농민들이 직접 정하기 때문에, 같은 작물이라도 다른 가격으로 판매되는 경우가 있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생산자의 이름과 연락처를 표시하기 때문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지만, 반대로 소비자의 불만이나 문제가 생기면 직접적으로 농민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습니다.
- 지역 농민들끼리 서로 아는 사이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해지면 사이가 어색해질 수 있습니다.
√로컬푸드의 종류
로컬푸드의 종류는 다양하다. 그 지역에서 생산한 식자재, 혹은 그 식자재로 만든 음식을 말한다.
예시를 들어보자.
- 아위버섯, 오이, 밤, 감자, 호두 등
- 배, 블루베리, 켐벨포도 등
- 포도, 표고버섯, 토마토 등
이외에 그 지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은 모두 포함한다고 보면 된다.
농협로컬푸드직매장에서 판매하는 농산물, 가공식품, 수산물, 축산물 등 로컬푸드를 소비하면 환경 보호, 생산자의 안정적인 소득, 소비자의 안전한 먹거리, 지역 경제 발전 등에 기여할 수 있다.
미래는 밝다고?
↓↓↘↘
√로컬푸드의 현황 및 미래와 전망
로컬푸드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먹거리의 안전성과 신선도를 높이고, 환경 보호와 지역 경제 발전에도 기여합니다.
- 로컬푸드의 공간적 범위는
- 나라마다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반경 50km 이내의 농산물을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 정부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제1차 로컬푸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 로컬푸드 직매장의 확대, 공공기관의 로컬푸드 구매 증대, 로컬푸드 인증제 도입 등의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 2022년부터 2026년까지는 제2차 로컬푸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 로컬푸드의 유통비중을 15%로 늘리고, 로컬푸드의 인지도를 70%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지자체들도 로컬푸드 직매장을 설치하고,
- 로컬푸드 인증제를 운영하면서 로컬푸드 행사를 개최하고 홍보와 판매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로컬푸드의 생산과 소비는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칩니다.
- 로컬푸드는 농민의 판매마진을 증가시켜 소득을 높이고, 소비자의 식비를 절감시킵니다.
- 또한 지역 내에서 재생산되고 재소비되므로, 지역의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의 소비력과 자금 순환을 촉진합니다.
- 또한 지역의 특산물과 문화를 홍보하고, 지역주민과 소비자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며, 지역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높입니다.
- 로컬푸드의 미래와 전망은 밝습니다.
- 로컬푸드는 먹거리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며, 환경과 지역사회에 이익을 가져오는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입니다.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변화된 소비자의 식생활과 가치관에도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 비대면 거래와 온라인 판매를 통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품목과 가격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힙니다.
- 또한 지역의 문화와 관광을 결합하여 로컬푸드 직매장을 농촌의 문화공간으로 발전시키고, 소비자의 참여와 경험을 증대시킵니다.
↓↓↘↘
끝.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전수수료 비교 및 우대 받는 방법 (45) | 2023.11.13 |
---|---|
말톡, 국내외 어디서나 070 로밍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앱 (29) | 2023.11.10 |
희토류, 미래 산업의 핵심 자원이지만 환경오염의 원인 (55) | 2023.11.09 |
카카오, SM 인수로 엔터테인먼트 시장 진출, 콘텐츠 생태계 확장 전략은? (91) | 2023.11.06 |
줌으로 쉽고 편하게 회의하기: 줌 사용법과 팁 정리 (44) | 2023.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