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폭력위원회2

줄어들지 않는 학교 폭력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 ▶ 학교폭력실태조사 학교폭력의 유형, 피해, 가해, 목격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부가 매년 시도교육청과 함께 실시하는 조사입니다.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피해 응답률은 1.7%, 가해 응답률은 0.6%, 목격 응답률은 2.4%로 나타났습니다.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원칙으로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진행되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 실태조사에 참여하는 방법 학교폭력 실태조사 누리집에 접속해 별도 회원 가입 없이 24시간 설문에 응할 수 있습니다. 학생 인증은 담임교사로부터 부여받은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자신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가 소속된 교육청을 선택하고 왼쪽의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선택하시고, 필요한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2023. 4. 7.
"학폭" 대처법 참교육 가이드라인 서론 / Introduction 본론 / Point 대한변호사협회 '학교폭력 전문' 그리고 형사전문 변호사로 등록되어 있는 변호사를 를 찾아가 상담을 받아 보았습니다. "학교폭력"(학폭) 범위 학교폭력이나 청소년 사건의 특징은 일반 형사 사건과의 차이는 힘의 우위관계에 있느냐 학생들 사이의 관계가 무엇이냐에 달려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어떤 친구가 '야! 나 뭐 하나만 찾아줘'라고 하는 것이 서로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 부탁이고 소위 말하는 일진이 '야! 너 저거 좀 사 와'라고 하는 것은 강요 행위이기 때문에 욕설이나 명령조의 말들은 학교 폭력입니다. 학교폭력(학폭) 피해자 대처법 학교 폭력 피해를 받았다면. 다음 '세 가지 절차'가 있습니다. 학교폭력위원회(학폭위)에 신고하는 것 형사 고소하는 것 민.. 2023.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