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안심주택2

청년안심주택 vs 역세권청년주택 차이점 알아보기 "청년안심주택"과 "역세권청년주택"은 같은 말이 아닙니다. √ 청년안심주택은 역세권청년주택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2023년부터 새롭게 개편된 정책입니다. √ 역세권청년주택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공급된 주택으로, 지하철역 350m 이내에 위치하는 주택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임대해 준 주택입니다. ◈청년안심주택 ▷임대료와 관리비가 더 낮아집니다. 민간임대의 경우 주변시세 대비 85~95% 수준에서 75~85% 수준으로 인하됩니다. 공공임대의 경우 보증금 선택 범위가 2~3천만 원에서 5백~3천만 원으로 확대됩니다. 또한, 관리비 절감을 위해 수익형 임차시설 및 부설주차장의 부가수익을 관리비로 활용합니다. ▷사업대상지가 확대됩니다. 역세권 청년주택의 경우 역세권 350m 내에만 공급이 가능했지만, 청.. 2023. 8. 6.
역세권청년주택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 그리고 무이자대출 알아보기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역세권의 규제완화와 체계적인 개발을 통해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의 청년, 신혼부부 등에게 공급하는 주택으로 공공임대와 민간임대가 있습니다. ◈역세권 청년주택 자격조건 ▶청년 나이: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 ▶무주택: 입주자모집공고일부터 임대차 계약 종료일까지 세대구성원 전원이 무주택이어야 함 ▶무자동차: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아야 함 (단, 장애인 사용 자동차, 생업용 자동차, 유자녀용 자동차 등 일부 예외적인 경우 허용) ▶소득기준: 신청자 등의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20% 이하여야 함 ▶자산기준: 신청자 등의 총자산이 일정 금액 이하여야 함 (대학생 계층은 8600만 원 이하, 청년 계층은 2.88억 원 이하, 신.. 2023.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