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새해 들어 반드시 알아야 할 스미싱예방방법 대처법

by 뭐슨일이고 2025. 1. 23.

2025년 새해 들어 반드시 알아야 할 스미싱예방방법 대처법

↘↘

 

연초가 되고 설날 명절이 되는 이맘때가 되면 여지없이 보이스피싱 또는 스미싱, 파밍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파밍 뜻은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이스피싱은 음성(Voice)과 개인 정보(Private data), 낚시(Fishing)를 합성한 용어로 전화 등을 이용해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하여 개인정보를 빼낸 뒤 이를 범죄에 이용하는 사기 수법으로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검찰이나 경찰 등 수사기관을 사칭하여 피해자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접근하는 경우, 금융기관을 사칭하여 저금리 대출이나 대환대출을 해준다며 접근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범죄를 일으키는 수법입니다.

 

이와 비슷한 방법이긴 하지만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사기 수법인데요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나 기업이 보낸 것처럼 가장하여 개인 정보를 요구하거나,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경우와 청첩장, 택배 배송 조회, 코로나19 백신 접종 예약 등의 문자메시지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여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밍(Pharming)은 새로운 피싱 기법 중 하나로, 사용자가 자신의 웹 브라우저에서 정확한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하여 개인정보를 훔치는 것을 말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미싱 문자 피해 사례, 예방 및 신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2025년 새해 들어 반드시 알아야 할 스미싱예방방법 대처법

 

 

 

스미싱 특징 및 주요 피해 사례

 

스미싱은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사기 행위로 사기꾼들이 피해자에게 SMS를 보내서 개인정보, 금융 정보 또는 다른 민감한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획득하려고 합니다.

 

 

특징으로는 

 

1. 긴급성을 강조하는 메시지에는 종종 긴급한 상황이나 제한된 시간 내에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화를 받은 이에게 신중하게 생각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2. 신뢰할 만한 은행이나 정부 기관, 유명 회사 등 믿기 쉬운 기관이나 개인을 위장해서 링크가 포함된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3. 악성 링크를 메시지 내용에 포함시켜 클릭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클릭하는 동시에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4. 메시지에는 허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를 속여 특정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관심사를 대상으로 메시지 내용을 만들어내고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요 피해 사례

 

  • "[00 택배] 고객님께 배송할 물품이 도착하였습니다. 확인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라는 문자 메시지를 받고, 링크를 클릭하자 스마트폰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경우입니다.
  • "[00 통운] 주소 불명으로 반송 처리됩니다. 주소를 수정하려면 여기를 누르세요"라는 메시지에 속아 링크를 눌렀다가 소액결제가 진행되는 피해 사례도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모두 택배사를 사칭하여, 사용자가 메시지에 있는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스미싱의 전형적인 형태입니다.

 

그 밖에 금융사를 사칭하여 "[00 은행] 고객님 앞으로 새로운 신용카드가 발급되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 "[00 은행] 정부 지원 저금리 대환대출 승인 안내. 한도 조회 및 신청을 원하시면 여기를 클릭하세요"와 같은 문자를 받았을 경우에는 절대로 메시지에 있는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즉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스미싱 피해 예방법

 

1. 링크 클릭하지 않기

의심스러운 문자메시지의 링크는 클릭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악성코드가 설치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입력하지 않기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해서는 안 됩니다.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가 스미싱  조직에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3. 스마트폰 보안 강화하기

스마트폰에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소액결제를 차단하거나 결제 금액을 제한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4. 통신사 서비스 이용하기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스팸차단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서비스는 스팸 문자를 차단해 주고, 스미싱으로 의심되는 문자를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5. 경찰청 사이버캅 활용하기

경찰청 사이버캅은 URL에 숨겨진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스미싱 신고 및 대응 방법

 

△ 신고 방법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신고 : 국번 없이 182번으로 신고
  • 금융감독원 신고 : 금융감독원 불법금융신고센터 1332번으로 신고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신고 : 118번으로 신고

 

△ 대응 방법

 

  • 악성코드 제거 : 스마트폰을 안전 모드로 부팅한 후,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제거합니다.
  • 소액결제 차단 : 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하여 소액결제를 차단하거나, 소액결제 한도를 낮춥니다.
  • 금융거래 확인 : 금융기관에 연락하여 최근 거래 내역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최대한 빨리 신고합니다.
  • 개인정보 보호 :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에는 즉시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2차 인증을 설정하는 드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마치며

 

 

스미싱과 보이스피싱, 파밍 범죄는 피해자에게 큰 금전적 손실을 입힐 수 있으며,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한 추가적인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범죄에 속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의심스러운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받았을 때는 바로 끊거나 메시지를 삭제,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실수로 클릭하거나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즉시 경찰청이나 금융감독원 등 관련 기관에 신고하거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운영하는 118 상담 센터에 신고하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2025년 새해 들어 반드시 알아야 할 스미싱예방방법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은행권 자율배상제도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비대면 금융 피해 은행에서 책임진다

 

은행권 자율배상제도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비대면 금융 피해 은행에서 책임진다

은행권 자율배상제도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비대면 금융 피해 은행에서 책임진다↘↘ 은행권 자율배상 제도는 금융감독원에서 보이스피싱 등을 비롯한 비대면 금융사고 피해 예방을 위해 2024

cleanmanager.tistory.com

 

 

↘↘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