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대출로 등록금과 생활비 줄이기, 이자, 상환 방법, 이자 및 금액 계산
♡♥
↘↘
학생들이 학비와 생활비를 부담 없이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가 학자금 대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자금대출과 관련된 취업 후 상환 방법, 이자 및 금액 계산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학자금대출 이자 계산 방법과 상환 방법
▣ 학자금대출이란?
학자금대출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등록금과 생활비를 부담 없이 해결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대출 제도로 한국장학재단에서 운영하며, 소득분위에 따라 대출 금리와 대출 한도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
↘↘
▣ 학자금대출 종류
1. 등록금대출 - 대학(원) 등록금 전액을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 금리는 고정금리 또는 변동금리로 적용되며, 대출 기간은 최대 20년까지 가능합니다.
2. 생활비대출 - 학기당 150만 원까지 대출 가능하며, 대출 금리는 등록금대출과 동일합니다. 대출 기간은 최대 10년까지 가능합니다.
3. 취업 후상환 학자금대출 - 소득분위 1-8 분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대출 원금과 이자를 취업 후 일정 소득 이상 발생 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
↘↘
▣ 학자금대출 이자
학자금대출의 이자는 고정금리 도는 변동금리로 적용되는데요, 고정금리는 대출 실행 시점의 금리가 대출 기간 동안 고정되며, 변동금리는 매 학기마다 금리가 변동됩니다.
대출 금리는 소득분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2023년 2학기 기준으로 소득분위는 1.7%, 9-10 분위는 2.9%입니다.
▣ 학자금대출 상환 방법
1. 취업 후상환 학자금대출 - 취업 후 일정 소득 이상 발생 시 상환 의무가 발생합니다. 의무상환액은 연간 소득금액이 2,174만 원 이상인 경우, 초과 금액의 20%를 12개월로 나눈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2. 자발적 상환 - 대출자가 자발적으로 대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방법으로 자동이체, 가상계좌, ATM 등을 통해 가능합니다.
♡♥
↘↘
▣ 학자금대출 이자 및 금액 계산
학자금대출 이자 및 금액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대출 금액 - 1,000만 원
- 대출 금리 - 2.9%
- 대출 기간 - 10년
이자 계산
- 1년 이자 : 1,000만 원 × 2.9% = 29만 원
- 10년 이자: 29만 원 × 10년 = 290만 원
총 상환 금액
- 1년 상환 금액 : 1,000만 원 + 29만 원 = 1,029만 원
- 10년 상환 금액 : 1,029만 원 × 10년 = 10,290만 원
※ 이자(利子) 지원
이자(利子) 지원은 소득 분위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지원율이 달라집니다.
+ 기초/차상위 - 전액
+ 1-8 분위 - 소득 분위별로 차등 지원(2023년 2학기 기준 2.0% p - 1.7% p)
+ 9-10 분위 - 지원 없음
이자(利子) 지원은 신청자에 한하여 지원되므로, 학자금 대출 신청 시 이자(利子) 지원도 함께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장학재단 - https://www.kosaf.go.kr/ko/main.do
♡♥
↘↘
▣ 학자금대출 신청 방법
학자금대출 신청은 한국장학재산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신청 기간은 매 학기마다 다르며,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소득분위에 따라 다르며,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학자금대출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경제적인 부담 없이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대출 금리와 상환 방법 등을 잘 파악하여 자신에게 맞는 대출을 선택하시기 바라며, 학자금대출을 통해 경제적인 부담을 덜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상으로 학자금대출로 등록금과 생활비 줄이기, 이자, 상환 방법, 이자 및 금액 계산에 대해서 요약 정리해 보았습니다.
♡♥
↘↘
끝.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학기 국가근로장학금 1차 신청 안내 신청기간 신청방법 안내 (22) | 2024.11.21 |
---|---|
재직자, 실업자를 위한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부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13) | 2024.11.01 |
구직자를 위한 국민취업지원제도, 혜택과 신청방법 및 지원금 수령까지 (11) | 2024.10.15 |
의료급여 정률제 도입, 가난한 사람들의 의료 접근성 위기 (17) | 2024.10.12 |
2024년 상병수당 제도, 아프면 쉬는 권리 보장 (13) | 2024.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