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뉴스/정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

by 뭐슨일이고 2023. 10. 1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관계

↓↓

요즘 전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과의 분쟁을 알아보려고 한다.

이들 국가는 왜? 잦은 분쟁으로 전 세계인들의 우려와 내국민들의 고통과 목숨까지도 위협을 받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고 오랜 역사를 가진 갈등이다. 이들은 땅, 종교, 정치, 인권 등 여러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1948년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 안에 따라 유대인 국가로 건국되었으나, 팔레스타인과 이웃 아랍국가들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전쟁을 벌였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전쟁과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현재 이스라엘은 1967년 전쟁에서 점령한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동예루살렘을 통제하고 있으며,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은 이를 불법이며 자신들의 미래 국가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예루살렘은 양측이 모두 수도로 삼고 싶어 하는 성지이다.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하마스가 통치하고 있으며, 이스라엘과 이집트는 가자지구의 국경을 통제하고 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으며, 종종 로켓포 등으로 공격한다.

 

이에 이스라엘은 공습이나 땅굴 파괴 등으로 반격한다. 양측은 여러 번 평화 회담을 시도했으나, 결정적인 합의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최근에는 이스라엘과 일부 아랍국가들이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팔레스타인 측은 이를 반대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슬람교도들의 입장을 알고 싶어요

 

일반적이지만, 이슬람교도들은 팔레스타인을 이슬람의 제3대 성지로 인정하고, 이스라엘의 점령과 정착촌 건설을 불법이며 불의라고 간주한다. 하지만 이슬람교도들이 모두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것은 아니다.

 

일부는 평화적인 해결을 지지하고, 일부는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다.

 

☞ 이슬람교도들의 입장을 알아보자

↓↓

◇ 이슬람교도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이다.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은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거주하는 아랍인들로 구성된 민족이다. 팔레스타인은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전쟁에서 토착민들이 많이 흩어지거나 쫓겨난 후, 1967년 전쟁에서 이스라엘에 점령된 지역에서 자신들의 국가를 세우기 위해 투쟁해 왔다.
  • 팔레스타인은 1988년에 독립을 선포했으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팔레스타인은 1993년 오슬로 협정을 통해 이스라엘과 상호 인정하고, 자치권을 얻었다. 하지만 협정의 구체적인 내용은 합의되지 못했다.
  • 팔레스타인은 현재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일부를 통제하고 있으며, 예루살렘 동부를 수도로 삼고 싶어 한다. 팔레스타인은 이슬람교도들의 대다수가 속한 선진국가기구(OIC)의 회원국이다.

 

하마스:

 

  • 하마스는 1987년에 설립된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이다. 하마스는 꾸란과 성전사의 전통에 기반한 이슬람 원리주의를 주장하며,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고, 전면전과 테러로 저항한다.
  • 하마스는 2006년에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실시된 선거에서 승리했으나, 팔레스타인 정부와 분쟁을 벌였다. 2007년에 하마스는 가자지구를 통제하고, 요르단강 서안지구는 팔레스타인 정부가 통치하게 되었다. 하마스는 미국과 유럽연합 등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집트:

 

  • 이집트는 중동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이며, 가장 영향력 있는 아랍 국가 중 하나이다.
  • 이집트는 1979년에 카둠토 협정을 통해 이스라엘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 이집트는 가자지구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가자지구의 무기 및 인력 유입을 막기 위해 국경을 통제하고 있다.

☞ 분쟁 해결 방안을 알아보자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있을까?

 

지금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오랜 역사와 종교,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해결방안은 '두 국가 해결론’입니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적인 국가로 존재하되, 예루살렘과 같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지역은 공동으로 관리하자는 것입니다. 이 방안은 유엔과 미국 등 많은 국가들이 지지하고 있습니다.

 

 

◇ 다른 해결방안으로는 '두 민족 일 국가론’이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되, 유대인과 아랍인이 각각 자신들의 문화와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공평하게 대우받는다는 것입니다.

이 방안은 일부 팔레스타인과 진보적인 유대인들이 주장하고 있습니다.

 

 

◇'지역 통합론’이라는 해결방안도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뿐만 아니라 주변의 아랍국가들과 함께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협력체를 구성하여 평화와 번영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이 방안은 중동 평화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일부 국가들이 제안하고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일방주의’라는 해결방안도 존재합니다.

 

이는 어느 한쪽이 자신들의 입장을 강행하면서 다른 쪽을 배제하거나 억압하는 것입니다. 이 방안은 극단주의자들이 선호하며, 폭력과 테러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는 다양한 해결방안이 있지만, 어느 것도 완벽하지 않으며,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과 타협이 필요합니다. 결국에는 양측이 상호 존중하고 협상하며 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