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뉴스/경제25

미국발 고금리 쇼크,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원인과 대책 알아보자 ↓↓ 고금리 쇼크란 무엇일까요? 요즘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단어가 있다면 고금리 쇼크입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와의 분쟁의 여파와 더불어 여러 측면에서 세계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는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시간에는 고금리 쇼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금리 쇼크가 대체 뭘까요? ↓↓ 고금리 쇼크는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고금리 쇼크는 주로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이나 대외 요인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금리 쇼크가 발생하면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고, 부채 부담이 커지고,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등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의 국채 금리가 16년 만에 최고 수준인 4.9%대로 상승하면서 고금리 쇼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 2023. 10. 20.
돈을 많이 발행하면 모든 국민이 부자가 될 수 있을까? 돈을 많이 발행하면 모든 국민이 부자가 될 수 있을까? 돈을 많이 발행하면 국민 모두가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인 인플레이션 inflation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 구매력이 감소하고, 투자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고, 사회 불안이 증가하고, 보건 및 교육에 문제가 발생하고, 차입 비용이 증가하고, 불확실성 및 경제 활동이 감소할 수 있다. 국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요인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과잉 소비와 금리 인상은 달러의 강세와 원자재 가격의 상승을 초래하여 다른 나라들에게 인플레이션을 수출할 수 있다. 따라서 .. 2023. 7. 18.
중국경제의 성장과 위기, 디플레이션이 찾아왔다?(디플레의 의미) 중국경제의 성장과 위기 그리고 디플레이션? 중국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빠른 회복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경기침체와 물가하락의 압력이 커지고 있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로 2021년 2월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생산자물가도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이는 중국 당국이 설정한 올해 3%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 목표와는 거리가 멀다고 평가된다.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하락하면서 기업과 소비자의 수요와 투자가 줄어드는 현상이다. 디플레이션에 빠지면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증가하며, 부채 부담이 커진다. 따라서 중국 당국은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금리 인하, 지급준비율 인하, 유동성 공급 등의 통화정책을 통해 .. 2023. 7. 17.
거치후 원리금균등상환으로 대출을 갚아보자! 장단점과 계산법! 거치 후 원리금균등분할상환은 처음 일정기간 동안은 이자만 갚아가다가 특정 시점부터는 대출기간 동안 이자와 원금을 합친 금액이 매월 같도록 계산하여 납입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1년 만기로 빌렸고, 처음 6개월은 거치기간이라고 하면, 처음 6개월 동안은 이자만 납부하고, 나머지 6개월 동안은 원리금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납부하게 됩니다. M = P * (J / (1 - (1 + J)-N)) 여기서 M은 월 상환액, P는 원금, J는 유효이자율, N은 총 상환 횟수입니다. 이 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회차 납입일 상환금 원금 이자 잔액 1 2023-07-17 0 0 0 10,000,000 2 2023-08-17 0 0 0 10,000,000 3 202.. 2023.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