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달라지는 정책 가정 밖 청소년 주요 내용 및 지원수당(+국민내일 배움 카드)
:)
↘↘
현대사회는 급격한 변화와 함께 다양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정 밖 청소년 문제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분야이다.
이번 시간에는 가정 내에서 학대나 방임 등으로 밖으로 내몰리는 청소년에 대해 정부의 안정적인 자립을 위한 정책 제도와 지원 및 주요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정 밖 청소년이란?
가정 밖 청소년은 가정 내에서의 불화, 학대, 방임 등의 이유로 가정에서 생활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생활하는 청소년을 말합니다.
이들은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안정적인 자립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여성가족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가정 밖 청소년 자립지원수당의 지급액은 전년도에 비해 10만 원이 오른 월 50만 원이며, 지급 기간은 기존 3년에서 2년 늘어난 5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먼저 자립지원수당은 청소년 쉼터, 청소년자립지원관에서 일정 기간 보호받고 퇴소한 청소년(만 18세 이상 24세 이하)을 대상으로 월 50만 원씩 최대 5년간 지급하는 제도인데요 이는 청소년들이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입니다.
'국민 내일 배움 카드'는 가정 밖 청소년(만 15세 이상)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일반 지원(1인당 300만 원)과 가정 밖 청소년 추가 지원 (200만 원)으로 구성되며, 총 5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정 밖 청소년은 자부담률이 완화되어 부담 없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정 밖 청소년의 학습과 진로 활동 지원 강화를 위해 전용공간을 늘리고, 청소년이 선호하는 디지털 기반 전문 직업훈련 과정과 일 경험 기회를 추가하는 등 '자립/취업 지원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해당 정책의 지원 대상은 취업을 희망하는 15세에서 24세 사이의 학교 밖 청소년이며, 직업훈련 수강료 및 일 경험 운영비를 지원합니다.
여성가족부는 고립/은둔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회복과 정서적 안정을 위해 '회복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부모 상담의 전문성을 강화합니다.
전구 12개 지방자치단체의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를 중심으로 시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고립/은둔 수준 진단부터 상담, 치유, 학습, 가족관계 회복에 이르는 전 과정을 맞춤형으로 지원합니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일대일 상담을 통해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기초 일상생활 회복, 심리검사 및 치료, 기초학습 지원 등을 진행합니다.
이처럼 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제도 등을 마련해서 사회가 좀 더 안정되고 청소년들과 그 가족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청소년들이 사회로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한층 더 발전해 나아가길 기대합니다.
여기까지 2025년 달라지는 정책 가정 밖 청소년 주요 내용 및 지원수당(+국민내일 배움 카드)에 대해서 정리해 드렸습니다.
2025년 위기가족 청소년 지원 달라지는 것은?
2025년 위기가족 청소년 지원 달라지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이유로 위기가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많은 청소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cleanmanager.tistory.com
:)
↘↘
끝.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금자리론 다자녀 혜택 두 자녀로 완화 (0) | 2025.02.28 |
---|---|
2025년 더욱 든든해진 출산 / 양육 돌봄 지원정책 (0) | 2025.02.13 |
2025년 위기가족 청소년 지원 달라지는 것은? (1) | 2025.02.12 |
2025년 영유아 보육서비스 지원 신청하세요 (+보육료, 유아학비, 양육수당) (0) | 2025.02.10 |
복지멤버십 나에게 꼭 맞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 쉽게 확인하기 (1) | 2025.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