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 종합저축 가입대상 예적금 가입방법
↓↓
올해 들어 계속적인 경기 불황으로 투자 리스크가 높아져 적금과 예금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로소득이든 투자소득이든 수익에 대한 세금 문제는 늘 주의해야 합니다. 예금으로 얻은 소득에 대해서도 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는데, 다행히도 우리나라에는 세금을 절세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있어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 비과세종합저축이란
비과세종합저축은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저소득층의 금융소득 증대를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이 제도에 따라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예금자는 1인당 최대 5천만 원까지 예금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입 대상
- 만 65세 이상 노인
- 장애인 (장애인등급 1~3급)
-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저소득층
- 고엽제후유의증환자
- 5·18 민주화운동부상자
가입 한도
- 1인당 최대 5천만 원 (전 금융기관 통합 한도)
- 기존 세금우대종합저축 및 생계형 저축 가입 금액 차감
예시)
- A 씨가 국민은행에 3천만 원, 우리은행에 2천만 원의 비과세종합저축을 가입했다면, B 씨는 다른 금융기관에 최대 5천만 원까지 비과세종합저축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
한도 조회
-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 [ 금융감독원 소비자정보 포털> 금융소비자보호> 홈 ] (nhlife.co.kr) )
- 각 금융기관 앱 또는 인터넷뱅킹
계좌
- 일반 예금계좌와 동일
- 인터넷뱅킹, ATM 등 이용 가능
비과세종합소득
- 비과세종합저축의 이자소득은 종합과세대상에서 제외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납부 필요 없음
예시)
- B 씨가 연간 1천만 원의 비과세종합저축 이자를 받았다면, B 씨는 이 1천만 원에 대한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납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 주의 사항
- 가입 대상 및 한도는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주의
- 가입 시 본인의 자격 요건 충족 여부 확인 필요
- 비과세 한도 초과 시 초과 금액에 대한 이자는 과세
◎ 비과세 종합소득 vs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 종합소득과 비과세종합저축은 비슷한 용어이지만 의미는 다릅니다.
◇ 비과세 종합소득
- 종합과세대상에서 제외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즉,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납부할 필요가 없는 소득입니다. 비과세 종합소득에는 다양한 항목이 있으며, 비과세종합저축 이자도 그중 하나입니다.
◇ 비과세종합저축
-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저소득층의 금융소득 증대를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이 제도에 따라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예금자는 1인당 최대 5천만 원까지 예금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비과세종합저축 가입 방법
비과세종합저축 가입 방법은 금융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가입하려는 금융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가입 대상 확인: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 가입 한도 확인: 1인당 최대 5천만 원 (전 금융기관 통합 한도)
- 가입 금융기관 선택: 은행, 증권사 등
- 본인 확인 절차 진행: 신분증, 계좌 등 제출
- 가입 신청: 서면 또는 온라인
- 필요 서류 제출
- 가입 완료
비과세종합소득세율
비과세종합저축 이자는 비과세 소득이기 때문에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즉, 비과세종합소득세율은 0%입니다.
◎ 비과세 예금과 적금
◆ 비과세 예금
비과세 예금은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이 면제되는 예금 상품입니다. 저소득층의 금융 소득 증대를 위해 마련되었으며, 1인당 최대 5천만 원까지 예금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 납부 불필요
- 일반 예금보다 높은 금리
- 조기해지 시에도 이자 상실 없음
단점
- 가입 대상 및 한도 제한
- 금리 변동 가능성
▶비과세 예금 종류
- 비과세종합저축: 저소득층을 위한 일반적인 비과세 예금 상품
- 만 65세 이상 비과세저축: 만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비과세 예금 상품
- 세금우대종합저축: 2023년 12월 31일까지 가입 가능한 기존 비과세 예금 상품
- 생계형 저축: 저소득층을 위한 저금리 비과세 예금 상품
◆ 비과세 적금
비과세 적금은 적금 상품의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이 면제되는 상품입니다. 2023년부터 도입된 새로운 제도이며, 1인당 연 500만 원까지 적금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비과세 적금의 장점
- 세금 혜택: 연 500만 원까지 적금 이자에 대한 세금 납부 불필요
- 목돈 모으기 용이: 매달 일정 금액을 자동으로 저축하여 목돈 모으기 용이
- 강제적 저축: 목돈을 위한 계획적 저축 습관 형성
- 만기 시 약속된 이자 수익: 만기 시 약속된 이자를 받을 수 있음
비과세 적금의 가입 대상
- 모든 국민 (연 소득 1억 원 이하)
- 1인당 연 500만 원 한도 (전 금융기관 통합 한도)
비과세 적금 가입 방법
- 금융기관에 비과세 적금 상품 가입 신청
- 가입 시 본인 확인 절차 진행 (신분증, 계좌 등 제출)
마치며
경기 불황의 시기에도 비과세 상품을 효과적으로 잘 활용만 한다면 세금 부담도 줄이면서 자산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겁니다. 힘내시고 열심히 해 보자고요
끝.
'부자되는 법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일리 워킹 적금 NH적금 스마트적금 최고 연 11.0% (22) | 2024.04.09 |
---|---|
우대 금리 조건 및 적금이자 높은 은행 (22) | 2024.04.09 |
NH1418 스윙적금 농협 적금 추천 2024최고금리6.60% (21) | 2024.04.08 |
코스닥 상장 엔젤로보틱스 주가 전망 공모가 3배 넘겨 (22) | 2024.03.26 |
비트코인 인기비결과 예측 전망 2024년~2030년 (17) | 2024.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