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당근마켓 타 지역 인증, 거래 5가지 팁과 장단점 알아보기

by 뭐슨일이고 2023. 10. 26.

↓↓↘

당근마켓은 당신 근처의 지역 생활 커뮤니티 서비스입니다. 당근마켓에서는 이웃들과 가깝고 따뜻한 중고거래를 할 수 있고, 동네 정보와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네 알바를 구하거나, 동네 가게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당근마켓 타 지역 인증 방법 및 구매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당근마켓 타 지역 인증, 거래 5가지 팁과 장단점 알아보기

 

↓↓↘

타 지역 인증하기

 

√당근마켓 타 지역 인증

 

당근마켓은 동네 중고거래 앱으로, 동네 인증을 통해 자신이 소속된 지역에서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타 지역에 있는 물건을 사고 싶거나 팔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근마켓 타 지역 인증 방법 이렇게 하세요!

 

  • GPS 위치 조작을 통해 다른 동네 인증하기:
    • 이 방법은 아이폰만 가능하며,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속여서 원하는 지역의 동네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 이 방법은 당근마켓의 정책에 위배되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 카페를 이용해 타 지역 동네 인증 도움 요청하기:
    • 이 방법은 네이버 카페나 다음 카페 등에서 당근마켓 도움방을 찾아서, 원하는 지역의 사람에게 동네 인증을 부탁하는 것입니다.
    •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며, 사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으로 타 지역 거래 도움 요청하기:
    • 이 방법은 카카오톡에서 당근마켓 오픈 채팅방을 검색하여, 원하는 지역의 대리인에게 채팅 연결이나 물건 검색 등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며, 사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당근마켓 PC버전을 활용하거나, 동네 범위를 넓히거나, 해당 지역 동네를 추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들은 타 지역 인증보다는 타 지역 거래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

프로그램 이용 인증하기

√프로그램을 이용 인증하는 방법

 

◇ 아이폰을 사용하는 경우,

 

1. 아이폰 위치 조작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고, 아이폰을 USB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2. 그런 다음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지역을 검색하거나 지도에서 선택하고, 위치 변경 버튼을 누릅니다.

3. 이렇게 하면 아이폰의 GPS 위치가 가상으로 변경되어 당근마켓에서 타 지역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 아이폰 위치 조작 프로그램으로는 아이마이폰 애니투, 우테키 아이무브고, iTools, 3 uTools 등이 있습니다.

사용법은 "play 스토어"에서 설치 사용하시면 됩니다.

 

 

◇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1. GPS 스푸핑 앱을 휴대폰에 설치하고, 가상 위치를 선택합니다.

2. 그런 다음 앱을 활성화하면 휴대폰의 GPS 위치가 바뀌어 당근마켓에서 타 지역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3. GPS 스푸핑 앱으로는 Fly GPS, [Location Changer] 등이 있습니다. 각 앱의 특징과 사용법은 "Play 스토어"에서 설치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외에도 카페나 오픈 채팅방에서 타 지역 동네인증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거나 사기에 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카페를 이용 인증하는 방법

 

  • 네이버 카페나 다음 카페 등에서 당근마켓 도움방을 찾아서, 원하는 지역의 사람에게 동네 인증을 부탁하는 것입니다.
  •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며, 사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원하는 지역의 카페 이름을 검색해 방문한 다음 도움을 주실 분을 찾으면 되는 방식입니다.
  • 커뮤니티가 크게 활성화된 것은 아니지만, 먼저 홈페이지를 방문해 회원 가입을 진행한 다음, 타 지역 인증 부탁 요청을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카카오톡을 이용 인증하는 방법

 

1. 카카오톡을 실행하고, 채팅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오픈 채팅 버튼을 누릅니다.

 

2. 화면 상단의 돋보기 아이콘을 눌러서 검색창에 '당근마켓’이나 '당근마켓 타 지역’을 입력합니다.

 

3. 검색 결과에서 당근마켓 도움방이나 당근마켓 타 지역 도움방을 찾아서 입장합니다.

 

4. 채팅방에서 자신이 거래하고 싶은 지역의 대리인을 찾습니다.

▷ 보통 골뱅이 기호 (@)를 통해 지역을 검색하면 해당 지역의 대리인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대리인을 찾았다면, 1:1 오픈 채팅방을 생성하여 자신의 요구사항을 말씀하고,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 수수료는 보통 1000원 정도이며, 대리인이 물건 검색까지 해주는 경우에는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6. 대리인이 자신의 위치를 속여서 당근마켓에서 타 지역 인증을 해줍니다. 그러면 자신은 해당 지역의 물건들을 열람하고 채팅할 수 있게 됩니다.

 

 

 

√당근마켓 타 지역 인증 거래의 장단점

 

◇ 장점

 

  •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는 구할 수 없는 다양한 물품들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특산품이나 지역 한정 상품, 희귀한 중고 물품 등을 타 지역 인증 거래를 통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자신이 판매하고 싶은 물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지역을 찾아서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서울에서는 잘 팔리지 않는 물품이 부산이나 대구에서는 인기가 있을 수 있으므로, 타 지역 인증 거래를 통해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자신이 관심 있는 지역의 동네 생활 정보나 소식을 알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여행이나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 경우, 타 지역 인증 거래를 통해 해당 지역의 분위기나 문화, 주민들의 의견 등을 알 수 있습니다.

 

 

◇ 단점

 

  • 본인의 위치를 속이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거나 사기에 당할 위험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위치 조작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당근마켓의 정책에 위반되어 계정 정지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으며, 도움방을 이용하면 수수료를 지불하거나 도움을 주는 사람이 사기를 칠 수 있습니다.
  • 직거래가 어렵기 때문에 택배거래를 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상품의 상태 확인이 어렵고 배송비가 추가되며 배송 중에 상품이 파손되거나 분실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상품의 실제 모습과 설명이 다르거나 고장 난 경우, 반품이나 교환이 어렵고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당근마켓의 주요 목적인 동네 중고거래의 장점을 잃게 됩니다.
    • 예를 들어, 가까운 거리에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직거래를 할 수 없게 되고, 동네 주민들과의 소통이나 친목도 갖기 어렵게 됩니다.

↑↑↗

 

 

 

 

끝.

 

 

 

 

 

 

 

 

 

 

 

 

 

 

 

댓글